은퇴 후 생활비, 얼마면 충분할까요?
필요 금액부터 계산법까지 간단히 정리해볼게요.
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!
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합니다

노후 생활비 평균과 적정 금액
구분 | 1인 기준 | 부부 기준 | 출처 | 비고 |
최소 생활비 | 136만 원 | 195만 원 | 국민연금연구원 | 기본 생활 유지 |
적정 생활비 | 192만 원 | 277만 원 | 국민연금연구원 | 평범한 생활 |
풍족한 생활비 | 212만 원 | 369만 원 | KB금융연구소 | 여행·여가 포함 |
노후 생활비 평균은 사람마다 달라요. 국민연금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생각하는 최소 생활비는 1인 136만 원, 부부 195만 원 정도예요. 이건 기본적인 의식주만 충족하는 수준이라 여행이나 취미 생활은 꿈도 못 꾸죠. 적정 생활비는 1인 192만 원, 부부 277만 원으로 평범하게 생활하려면 이 정도는 필요하다고 봐요. 서울에 사는 분들은 이보다 더 높게 잡히기도 해요.
풍족한 노후를 꿈꾼다면 더 준비해야 해요. KB금융연구소 조사에선 여행이나 여가까지 즐기려면 1인 212만 원, 부부 369만 원이 적당하다고 나왔어요. 이 금액은 단순히 먹고사는 데 그치지 않고,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거예요. 근데 실제로 이 정도 마련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더라고요 :).
나이 들수록 생활비가 달라져요. 60대엔 활동량이 많아서 부부 기준 300만 원 가까이 들지만, 70대 들어서면 체력이 떨어지면서 지출이 줄어든대요. 통계청 자료 보면 70대는 평균 176만 원 정도 쓰는데, 의료비 비중이 커지는 게 특징이에요. 이걸 미리 계산에 넣어야 나중에 당황 안 해요.
현실적인 준비가 중요해요. 조사마다 금액 차이가 좀 있지만, 평균적으로 부부 기준 200-300만 원 사이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돼요. 근데 물가 상승 생각하면 지금 300만 원이 20년 뒤엔 500만 원 넘을 수도 있으니, 계산할 때 이 점도 감안해야 해요 !!
노후 생활비 계산 방법
단계 | 내용 | 예시 | 참고 사항 |
1단계 | 현재 지출 분석 | 월 400만 원 | 가계부 확인 |
2단계 | 노후 비율 조정 | 70-80% | 활동량 감소 |
3단계 | 물가 상승률 적용 | 연 2-3% | 20년 후 계산 |
4단계 | 추가 비용 고려 | 의료비 100만 원 | 건강 상태 |
먼저 지금 쓰는 돈을 체크하세요. 노후 생활비 계산은 현재 지출부터 시작해요. 가계부를 보면 월 400만 원 쓰고 있다면, 이걸 기준으로 잡는 거예요. 근데 은퇴하면 출퇴근 비용이나 업무 관련 지출이 줄어드니까, 보통 현재 지출의 70-80% 정도로 잡으면 돼요. 예를 들어 400만 원이면 280-320만 원 수준이에요.
물가 상승률도 빼놓을 수 없어요. 지금 300만 원이 20년 뒤에도 300만 원일 리 없잖아요. 연 2-3% 물가 상승률을 적용하면, 20년 뒤엔 대략 400-500만 원 정도 필요할 수 있어요. 계산기 돌려보면 금방 나오니까 한번 해보세요. 물가 생각 안 하면 나중에 후회할 거예요 :).
의료비 같은 추가 비용도 넣어야 해요. 65세 넘으면 병원 갈 일이 많아지는데, 건강보험통계 보면 1인당 연평균 497만 원 정도 든대요. 월로 나누면 약 40만 원 추가로 생각해야죠. 건강 상태 따라 더 늘어날 수도 있으니 이건 넉넉히 잡는 게 좋아요.
간단히 합쳐서 계산해보세요. 예를 들어 지금 부부 기준 400만 원 쓴다면, 노후엔 280만 원에서 시작해서 물가 상승률 더하고 의료비 추가하면 400만 원 넘을 수도 있어요. 이걸 기준으로 필요한 총액을 뽑아보는 거예요 !!
국민연금과 노후 생활비
구분 | 평균 수령액 | 가입 기간 | 비율 | 참고 |
전체 평균 | 65만 원 | 약 15년 | 86.8% | 2024년 기준 |
20년 이상 | 98만 원 | 20년 이상 | - | 최소 생활비 충족 |
최고액 | 200만 원 이상 | 약 32년 | 5만 명 | 최대치 |
국민연금은 노후 생활비의 큰 축이에요. 2024년 기준 평균 수령액은 월 65만 원인데, 이건 가입 기간이 평균 15년 정도 되는 사람들이 받는 금액이에요. KB금융 조사에서 86.8%가 노후 생활비로 국민연금을 꼽았을 정도로 의존도가 높죠. 근데 이걸로 최소 생활비 136만 원 채우려면 턱없이 모자라요.
가입 기간 늘리면 더 받을 수 있어요. 국민연금 20년 이상 내면 평균 98만 원 받아요. 부부가 둘 다 받으면 196만 원으로 최소 생활비는 커버되지만, 적정 생활비 277만 원엔 아직 부족하죠. 가입 기간 길수록 수령액이 올라가니까 미리 확인해보세요.
최고액 받는 사람도 있어요. 국민연금공단 자료 보면 월 200만 원 이상 받는 사람도 5만 명 정도 된대요. 이들은 평균 32년 정도 납부했어요. 근데 이런 경우는 소수고, 보통은 추가 준비 없으면 힘들어요 :).
현실적으로 연금만으론 부족해요. 평균 65만 원으론 1인 생활비 100만 원도 안 되니까, 국민연금 외에 개인연금이나 저축으로 최소 50-100만 원 더 마련해야 현실적이죠. 이거 없으면 노후가 팍팍할 거예요 !!
노후 생활비 내역과 항목
항목 | 비용 (월) | 비율 | 특징 | 참고 |
식비 | 80만 원 | 46.6% | 외식 포함 | 2020 노인실태조사 |
주거비 | 50만 원 | 24.5% | 관리비 포함 | 고정비 |
의료비 | 40만 원 | 10.9% | 병원비 | 65세 이상 |
여가비 | 30만 원 | 10% | 취미 생활 | 추정치 |
식비가 노후 생활비에서 제일 커요. 2020 노인실태조사 보면 65세 이상 노인들이 식비로 월 80만 원 정도 쓴다고 나왔어요. 이건 전체 지출의 46.6%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아요. 외식 줄이면 좀 줄일 수 있겠지만, 물가 오르면 더 늘어날 수도 있어요.
주거비도 무시 못 해요. 집 있으면 월세는 안 들지만 관리비나 공과금으로 월 50만 원 정도 나가요. 이건 전체의 24.5% 정도 되는데, 지역마다 다르니까 서울이면 더 올라갈 수 있어요. 집 없는 분들은 주거비 더 챙겨야죠 :).
의료비는 나이 들수록 늘어나요.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1인당 의료비가 월 40만 원 정도예요. 전체에서 10.9% 차지하는데, 건강 상태 따라 더 커질 수 있어요. 이건 필수라 줄이기 힘들어요.
여가비로 삶의 질 높여요. 취미나 여행 즐기려면 월 30만 원 정도 추가로 필요해요. 이건 전체의 10% 정도 되는데, 풍족한 노후 원하면 더 늘릴 수도 있어요. 이거까지 계산해야 진짜 노후 계획이죠 !!
노후 생활비 예측과 준비
구분 | 현재 월 비용 | 20년 후 예측 | 총 필요 금액 | 준비 방법 |
최소 | 195만 원 | 320만 원 | 7.8억 원 | 국민연금 |
적정 | 277만 원 | 450만 원 | 10.8억 원 | 개인연금 |
풍족 | 369만 원 | 600만 원 | 14.4억 원 | 투자 |
미래를 예측해서 준비해야 해요. 지금 부부 최소 생활비가 195만 원이라면, 물가 상승률 2% 적용하면 20년 뒤엔 320만 원 정도 될 거예요. 20년 산다고 치면 7.8억 원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와요. 국민연금만으론 부족하니까 추가로 저축해야죠.
적정 생활비 목표로 잡으면 더 넉넉해요. 현재 277만 원 쓰는 부부라면 20년 뒤엔 450만 원 필요해요. 총 10.8억 원 정도 모아야 하는데,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으로 채우는 게 현실적이에요. 이 정도면 여행도 다닐 수 있어요 :).
풍족하게 살려면 투자도 필요해요. 지금 369만 원 쓰면 20년 뒤엔 600만 원 정도 들 거예요. 총 14.4억 원 필요하니까, 연금 외에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로 자산 늘려야 해요. 이건 좀 힘들 수 있죠.
지금부터 시작하는 게 좋아요. 60대까지 300만 원, 70대엔 200만 원 정도로 줄여서 계산해도 최소 8-10억 원은 있어야 해요. 국민연금에 개인연금 더하고, 부족한 건 투자로 메꿔야 현실적이죠 !!
마무리 간단요약
- 생활비 평균 알아요. 최소 195만 원, 적정 277만 원, 풍족 369만 원이에요. 부부 기준이죠.
- 계산은 간단해요. 지금 지출 70%에 물가 상승 더하고 의료비 챙기세요.
- 국민연금은 기본이에요. 평균 65만 원, 20년 내면 98만 원 받아요. 더 필요해요.
- 내역 보면 식비가 커요. 80만 원 정도, 의료비 40만 원도 필수예요.
- 미리 준비하세요. 20년 뒤 450만 원 필요하면 10억 넘게 모아야 해요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