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통시장에서 장 보고 세금 혜택 받고 싶다면?
소득공제 방법과 공제율 간단히 정리해볼게요.
바쁘신 분은 가장 아래 간단요약 보러가세요 !
아래 목차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로 바로 이동합니다
목차
전통시장 소득공제란?
항목 | 내용 | 대상 | 한도 | 조건 |
소득공제 | 전통시장 사용액 공제 | 근로소득자 | 300만 원 | 총급여 25% 초과 |
공제율 | 40% (2025 상반기 80%) | 본인 및 가족 | 200만 원 초과 시 250만 원 | 등록된 전통시장 |
대상자 | 연소득 100만 원 이하 가족 | 배우자, 직계존비속 |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| 동거가족 포함 |
전통시장 소득공제는 근로소득자에게 혜택이에요. 전통시장에서 신용카드, 체크카드, 현금영수증으로 결제하면 사용액의 40%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어요. 2025년 상반기엔 공제율이 80%로 올라 100만 원 쓰면 80만 원 공제 가능하죠. 단, 총급여의 25% 초과 사용해야 공제가 시작돼요.
가족 사용액도 포함돼요. 본인뿐 아니라 연소득 100만 원 이하인 배우자나 직계존비속의 사용액도 공제 대상이에요. 총급여 7천만 원 이하면 최대 300만 원까지 공제 가능하고, 초과 시 250만 원 한도예요.
등록된 시장만 해당돼요. 전통시장법상 등록된 시장에서 사용한 금액만 공제돼요. 홈택스에서 전통시장 목록 확인 가능하니, 장 보기 전 꼭 체크하세요. 백화점이나 대형마트는 제외된답니다 :)
혜택이 꽤 커요. 일반 신용카드 공제율이 15%인 것과 비교하면 전통시장 공제율은 훨씬 높아요. 특히 2025년 상반기 80% 공제율은 놓치기 아까운 기회라, 전통시장 장보기 계획 세워보세요!
전통시장 소득공제 방법
방법 | 도구 | 절차 | 주의점 |
카드 결제 | 신용/체크카드 | 결제 후 기록 | 등록 시장 확인 |
현금영수증 | 현금, 온누리상품권 | 발급 요청 | 전화번호 등록 |
확인신청 | 영수증, 계좌이체 | 홈택스 신청 | 3년 내 신고 |
카드 결제가 가장 간단해요. 전통시장에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결제하면 자동으로 기록돼요. 연말정산 시 홈택스에서 사용 내역 확인 가능하니 편리하죠. 단, 등록된 시장인지 확인해야 공제 받을 수 있어요 :)
현금영수증 꼭 요청하세요. 현금이나 온누리상품권으로 결제할 땐 현금영수증 발급 요청해야 공제 대상이 돼요. 전화번호 등록하면 홈택스에 자동 반영되니, 상인에게 미리 말하는 거 잊지 마세요.
발급 거부 시 확인신청 가능해요. 상인이 현금영수증을 안 해줬다면 현금거래 확인신청으로 3년 내 신고하면 공제 받을 수 있어요. 영수증이나 계좌이체 증빙 필요하니 잘 챙겨두세요 ;;
온누리상품권도 공제돼요. 온누리상품권은 5-10% 할인 구매 가능하고, 현금영수증 발급받으면 공제도 받을 수 있어요. 전통시장 활성화에도 도움 되니 적극 활용해보세요!
2025 전통시장 공제율과 혜택
시기 | 공제율 | 대상 금액 | 추가 혜택 |
2025 상반기 | 80% | 최대 300만 원 | 소비증가분 공제 |
2025 하반기 | 40% | 최대 300만 원 | 기본 공제 |
소비증가분 | 20% | 100만 원 한도 | 2024년 대비 5% 초과 |
2025년 상반기 공제율이 높아요.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 전통시장 사용액은 80% 공제율 적용돼요. 100만 원 쓰면 80만 원 공제 가능하니, 상반기에 장 많이 보세요. 하반기엔 40%로 돌아가요.
소비증가분 추가 공제도 있어요. 2024년보다 5% 이상 더 썼다면, 증가분에 대해 20% 추가 공제 받을 수 있어요. 최대 100만 원 한도라 최대 20만 원 공제 가능하죠 :)
한도는 유연해요. 총급여 7천만 원 이하면 300만 원 한도, 초과 시 250만 원이에요. 전통시장, 대중교통, 문화비 합쳐서 한도 내에서 공제되니 전략적으로 써보세요.
계획 세우세요. 2025년 상반기 공제율 높은 시기를 노려 전통시장에서 장 보면 절세 효과 커요. 홈택스 확인으로 공제 내역 꼼꼼히 챙기세요!
전통시장 공제 주의점
항목 | 내용 | 제외 대상 | 확인 방법 |
시장 확인 | 홈택스 조회 | 대형마트, SSM | 지번 확인 |
업종 | 유흥업 제외 | 사행성 업소 | 영수증 확인 |
도매시장 | 공제 불가 | 노량진, 가락시장 | 홈택스 확인 |
모든 전통시장이 공제 대상은 아니에요. 홈택스에서 등록된 전통시장만 공제 가능해요. 대형마트나 SSM은 제외되고, 점포 지번이 전통시장 구역에 있어야 해요. 영수증 주소로 확인 가능하니 챙겨두세요.
유흥업은 공제 안 돼요. 유흥주점이나 사행성 업소에서 쓴 돈은 공제 제외예요. 전통시장 안이라도 업종 확인해야 하니, 영수증 업종 꼼꼼히 보세요 ;;
도매시장은 안 돼요. 노량진 수산시장, 가락시장 같은 도매시장은 공제 불가라 헷갈리지 마세요. 홈택스에서 전통시장통통 사이트로 확인하면 빠르게 알 수 있어요.
꼼꼼히 챙기세요. 공제 놓치지 않으려면 결제 전 시장과 업종 확인이 필수예요. 홈택스 조회로 미리 준비하면 연말정산 때 후회 없어요 :)
마무리 간단요약
- 공제율 높아요. 2025년 상반기 80%, 하반기 40% 공제 받아요.
- 카드나 현금영수증 챙겨요. 결제 시 기록 남기면 공제 쉬워요.
- 등록 시장 확인 필수. 홈택스에서 전통시장인지 체크하세요.
- 가족도 포함돼요. 연소득 100만 원 이하 가족 사용액도 공제.
- 도매시장은 제외. 노량진, 가락시장은 공제 안 돼요.
댓글